본문 바로가기

거꾸로뉴스 라인업1934

[청소년 칼럼] 65세 `LoL` 프로게이머 게임의 순기능과 역기능 - 뉴저널리스트 투데이 '컴맹'은 컴퓨터를 다룰 줄 모르는 사람을 뜻하는 말이다. '컴맹'이었던 대만인 65세 할머니 창이슈(대만)씨가 지난 21일(현지시간) AP통신에 소개됐다. 창이슈 할머니는 훙광에버그린게임단 리그오브레전드(LoL) 프로게이머로 활동하고 있다. https://newjournalist.today/detail.php?number=179&thread=24r07r01 [청소년 칼럼] 65세 `LoL` 프로게이머 사진=AP, MSNews 화면 캡처 '컴맹'은 컴퓨터를 다룰 줄 모르는 사람을 뜻하.. newjournalist.today 2022. 12. 29.
[IN the American Culture(2023년 미국문화와 영어 배우기] 브랜드 충성도 - 뉴저널리스트 투데이 [IN the American Culture(2023년 미국문화와 영어 배우기] 브랜드 충성도 - 뉴저널리스트 투데이 미국인들은 자신들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고 있다. 그들은 우수한 품질과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제품을 찾으면 웬만해서는 다른 제품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리히터 규모 7.0의 지진이 와도 그들을 움직이지 못한다. 특히 커피, 데오도란트, 시리얼 등 일상적으로 구매하고 사용하는 소비재에 대해서는 더욱 강하게 그런 성향이 나타난다. 그들은 자신들이 선호하는 제품에 대해 높은 충성도를 갖고 있다. https://newjournalist.today/detail.php?number=178&thread=26r01 2022. 12. 29.
[신입사원 김야구(若具)의 슬기로운 직장생활(1)] 야구에서 답을 찾는 직장 생활의 물음표. - 뉴저널리스트 투데이 이야기의 주인공은, 신입 사원 ‘김 야구(若具)’이다. ‘반야야’ 자에 ‘갖출 구’자로, 직역하면, 만물의 이치를 깨닫는 지혜를 갖춘다는 의미이다. 주인공에게, 통찰력을 갖춘 사람이 되라고 아버지가 지어준 이름이다. 주인공이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힘들어하게 된다. 노력한 것보다 결과가 잘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같이 일하는 본부장이 우연히 이 모습을 보고, 야구장을 데리고 간다. 야구 경기의 상황을 바라보면서, 직장 생활에 대해 하나둘씩 조언을 해준다. 주인공은 본부장의 이야기를 통해, 엉켰던 궁금증을 조금씩 풀어가게 된다. 궁금증이 풀리면서 본인이 해야 할 역할에 대해 명확히 알고, 새롭게 다짐을 하게 된다. 이야기 전개는 야구의 진행방식대로, 1회 초부터 9회 말까지 이루어진다... 2022. 12. 27.
미국大 & 한국高의 이례적 행보: MOU 체결 벨헤이븐대학과 한서고등학교 상호교육 협력키로 - 뉴저널리스트 투데이 미국의 기독교 사립 명문 벨헤이븐대학이 서울 한서고등학교와 교육 협력을 하는 상호 양해각서(MOU) 체결 기념식을 가졌다. 이는 미국의 대학과 한국의 고등학교가 갖는 이례적인 행보다. 외국의 대학과 한국의 고등학교가 교육 협력을 하는 것은 보기 드문 일이다. https://newjournalist.today/detail.php?number=176&thread=26r01 미국大 & 한국高의 이례적 행보: MOU 체결 Photo by NJT. 한서고등학교와 벨헤이븐대학이 MOU를 체결했다. 미국의 기독.. newjournalist.today 2022. 12. 27.
인도 북동부지역 신흥명문 NECU | 네팔, 중국, 미얀마, 부탄에 둘러싸여 있는 천혜의 위치 | 뉴저널리스트 투데이 NECU(North East Christian University. 이하 네쿠대학)는 인도 북동부 나갈랜드주에 있는 대학이다. 네쿠대학은 연구 중심의 대학으로 알려졌다. 이 학교의 최대 장점은 교직원들이 학생들에 대해 헌신 되어 있다는 점이다. 네쿠대학은 학문적 인프라가 우수하고 최신 커리큘럼 및 개선된 교육 방법론을 갖추고 있다. 또 다른 장점은 이 대학이 인도의 최고 인증기관인 UGC(University Grants Commission)에 속해 있다는 점이다. UGC는 1956년 UGC법에 따라 인도 정부 고등교육부, 교육부에서 설립한 법정 기관으로, 고등 교육 표준의 조정, 결정 및 유지 관리를 담당한다. https://newjournalist.today/detail.php?number=175&th.. 2022. 12. 24.
[미래교육] 손웅정&손흥민, 웅전흥전 미래교육의 안경으로 손웅정, 손흥민 부자의 교육을 살펴본다 - 뉴저널리스트 투데이 손흥민의 아버지 손웅정의 인생을 살펴보았다. 얼마 전 유퀴즈 온 더 블락에 나와 "흥민이는 월클이 아니다"라고 외친 그는 결코 겸손의 말을 하는 게 아니었다. 손웅정은 아들 손흥민을 그렇게 키웠다. https://newjournalist.today/detail.php?number=174&thread=26r02 2022. 12. 24.
영화 '영웅'에서 에너지를 얻다. 우리가 21세기에 이만큼 살 수 있었던 것은 영웅들의 희생 덕분이다 - 뉴저널리스트 투데이 최근 영화 ‘영웅’을 볼 기회가 있었다. 영화를 보는내내 먹먹했다. 나는 영화 자체를 평가하기보다는 영화를 보면서 에너지를 얻고 싶었다. 이 영화에서 나에게 강력하게 뻗어온 에너지는 안중근 의사의 어머니 조 마리아 여사의 편지였다. 이는 이미 잘 알려져 있는 내용이지만 영화라는 장르에서 표출되니 더욱 강렬하게 다가왔다. https://newjournalist.today/detail.php?number=173&thread=24r08 [편집장 칼럼] 영화 영웅에서 에너지를 얻다 영화 ’영웅’의 포스터 최근 영화 ‘영웅’을 볼 기회가 있었다. 영화를 보.. newjournalist.today 2022. 12. 24.
[김영태 칼럼] 생각에 힘빼기: 생각에 힘을 빼야, 모든 기회를 받아드릴 여력이 생긴다. - 뉴저널리스트 투데이 생각에 힘을 뺀 상태라면, 어떤 변수가 와도 그에 따른 새로운 흐름으로 그 생각을 흘려보낼 수 있게 된다. 그때 만나는 새로운 길과 더 넓은 길에서 뜻하지 않은 기회를 얻기도 한다. 한 해가 저물고 새로운 한 해가 다가온다. 새해에는 다른 것보다, 생각에 힘을 빼는 연습을 해보면 어떨까 싶다. 나에게 오는 기회를 가로막는 건, 타인도 시대 상황도 아닌, 바로 나 자신일 수도 있으니 말이다. https://newjournalist.today/detail.php?number=170&thread=28r01 2022. 12. 23.
[김헌식 칼럼] 알파(α) 세대는 MZ세대와 무엇이 다를까? -알파 세대의 미래 지향성을 북돋워야- 뉴저널리스트 투데이 #뉴저널리스트투데이 #뉴저널리스트_투데이 #newjournalist_today α(알파) 세대는 호주의 리서치기업 맥크린들 연구소(Mccrindle Research)에서 처음 정의했다. 2010년에서 2024년 출생한 이들을 가리킨다. 아직 어린 축에 속해서 포브스는 육아 등 앱 서비스 55조 원으로 추산했다. 때문에 ‘새로운 맘 이코노미(The new MoM Economy)'라고 했다. 해마다 전 세계적으로 280만 명씩 매주 태어나고 있는데 2025년 22억 명에 이르러 세계 인구 가운데 25%를 차지하지만 우리나라는 11% 정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우리는 가족주의와 교육열로 양가 조부모까지 그리고 삼촌, 이모 8명의 주머니가 지원된다는 주장도 있다. 여하간 새로운 에듀테크 시장의 주인공으.. 2022. 12. 22.
[멜랑콜리커] 천재들의 창조적 특성: 예외적이면서도 특별한 광기와 위대함 그리고 탁월하고 비범한 인물 지난 칼럼에 이어 멜랑콜리의 개념을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멜랑콜리는 인공지능(AI)은 가질 수 없는 인간만이 가진 우울감성이자 고뇌와 절망, 그리고 광기를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문학의 기본 개념으로서의 멜랑콜리 개념과 역사에 대해 집필한 책 ‘멜랑콜리’에서 박혜정 박사는 멜랑콜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멜랑콜리란 ‘검은’이라는 뜻의 Melan과 ‘담즙’이라는 뜻의 Kholia의 합성어로 ‘검은담즙’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현대의학의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에 대한 개념이 없었기에 신체내에 혈액, 점액, 노란 담즙, 검은 담즙이 존재하며 네 가지 체액이 균형을 이루면 건강하고 그중 하나가 우세하거나 모자라면 질병이 발생한다고 보았(습니다). 특히 검은담즙이 원인이 되는.. 2022. 12. 19.
메시&아르헨 월드컵 우승 드라마 쓰다 프랑스와 피말린 승부 끝에 승부차기 승리 메시의 아르헨티나가 역사상 세 번째 월드컵을 품에 안았다. 아르헨티나는 19일 오전 0시(한국시간) 카타르 루사일에 위치한 루사일 아이코닉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2 국제축구연맹(FIFA) 카타르 월드컵 결승전에서 프랑스와 3-3 동점을 이룬 후 승부차기에서 4-2로 승리해 통산 세 번째 월드컵 우승을 차지했다. https://newjournalist.today/detail.php?number=167&thread=24r07r01 메시&아르헨 월드컵 우승 드라마 쓰다 Photo by Shutterstock 메시의 아르헨티나가 역사상 세 번째 월드컵을 품에 .. newjournalist.today 2022. 12. 19.
[더 히든 라이터] 3. 신여윤 작가 “배워서 남 주자!” 철학을 실천하는 삶이 존경스럽다. 를 기획하고, 인터뷰할 작가님들을 모집하기 위해 블로그에 포스팅하고 여러 단톡방에 내용을 올렸다. 몇 분이 신청을 주셨는데, 대부분 이미 잘 알고 있거나 일면식이 있는 분들이었다. 그래도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이름을 처음 들어본 분이 블로그 비밀댓글을 남겨주셨다. 우연히 보게 되었는데, 뭔가 이끌리듯 신청을 하고 있다고 말이다. 너무 반가운 마음에 댓글을 남기고 인터뷰 일정을 잡았다. 필자가 전혀 알지 못하는 분이기에, 작가님을 알 수 있는 자료를 요청했더니, 바로 보내주셨다. 실로 엄청났다. ‘혼자서 이걸 다 하신다고?’라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인터뷰 전에 잠시 대화를 나눴는데, 사람들이 그렇게 말하더란다. “하루를 24시간 사는 게 아니라 48시간 사시는 거 같아요!” 공감했다. 이야기를 나.. 2022. 12. 18.
[가상 스토리 2025(5)] AI 노인 아파트. 최첨단 인공지능 아파트에서 AI돌봄서비스로 행복한 노년을 설계하다. 2025년 경기도 인근 모 아파트. 올해 80세인 J(아내)와 H(남편)는 최근 분양받은 최첨단 AI 노인 아파트에 입주했다. 3년 전, 점점 기력이 떨어진 이들은 실버타운으로 갈까 고민하던 중 가상 인간을 연구하는 회사에 다니던 딸 선영의 추천으로 분양 중인 인공지능 기반 아파트 계약을 했다. 인공지능 아파트는 음성인식서비스와 동체감지로 조명과 난방과 실내온도조절을 알아서 해주고 삼시세끼 로봇배달부가 개인입맛을 파악한 인공지능 데이터기반으로 삼시세끼 맞춤형 식단을 제공해준다. 또한, 건강지킴이 로봇이 상주해 입주자의 건강상태를 24시간 체크하고 노령층의 건강과 혹시 모를 응급상황에 대비해 병원과의 연계해주는 시스템과 메타버스를 활용한 스마트 경로당과 집안에 설치된 증강현실 프로그램이 있어서 화상통화 및.. 2022. 12. 17.
한국이 e스포츠 강대국인 이유는 무엇일까? 한국은 e스포츠 강대국이다. `리그 오브 레전드` 게임의 세계 대회인 일명 롤드컵의 12회 중 한국(LCK)은 7회를 우승을 차지했다. 지난 2022 롤드컵 결승전은 T1 대 DRX의 경기로 펼쳐졌는데 한국 대 한국으로 결승전이 치러질 정도로 한국(LCK)의 영향력은 엄청나다. 또한, 펍지 e스포츠의 세계 최대 규모의 배틀그라운드 대회인 `PGC`에선 그동안 열린 6회 대회 중 한국이 2회 우승을 차지하며 최다 우승국이 되었다. 스타크래프트는 어떨까? WCG(월드사이버게임즈챌린지)의 스타크래프트 부문에선 2000년부터 2010년까지 모든 대회 우승을 한국 선수가 차지했다. 한국이 e스포츠 강대국인 이유는 무엇일까? https://newjournalist.today/detail.php?number=165&.. 2022. 12. 17.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 꽃은 흔들리며 핀다고 하지만, 꺾이지 않는 마음이 있기에 가능하다. 흔들리며 꽃을 피워도 마음이 꺾이면 그 꽃은 오래 가지 못할 수 있다. 꽃을 피워도 오래 향기를 전하면 더욱 좋다.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우리의 마음에 새긴 문장은 ‘중꺾마’로 젊은 세대에게 널리 퍼졌다. https://newjournalist.today/detail.php?number=163&thread=28r01 It is said that flowers bloom while shaking, but it is possible because there is a heart that does not break. Even if you bloom while shaking, if your heart is .. 2022. 12. 14.
‘뚜껑 비즈니스(Lid business)’ - 싸이 ‘뚜껑 비즈니스(Lid business)’ 얼마 전 가수 겸 제작자 싸이(Psy. 박재상)가 뉴욕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꺼냈던 용어다. 한국어로든 영어로든 검색해서 뜻을 찾기 힘든 표현이다. 그는 이 인터뷰에서 그 의미를 설명했다. ‘뚜껑을 열어보기 전에는 뭐가 있는지 알 수 없는 비즈니스’라고 그는 말했다. 그는 그래서 자신이 하는 일을 사랑한다고 했다. 무엇이 나올지 뻔히 알면 흥미가 떨어진다는 것이다. https://newjournalist.today/detail.php?number=161&thread=24r08 뚜껑 비즈니스가 재밌다는 싸이 Photo by Shutterstock 가수 싸이와 댄스팀 ‘뚜껑 비즈니스(Lid business.. newjournalist.today 2022. 12. 14.
필드의 초문화적 공화국 프랑스의 축구 프랑스는 다양성 때문에 글로벌팀으로도 불린다. 그리고 프랑스 축구팀은 ‘필드의 초문화적 공화국’으로도 불린다. 긍정적으로 보는 사람은 ‘관용, 공동체, 협력’으로 보지만 부정적으로 보는 이는 ‘혼란, 분열, 불안정’으로 본다. https://newjournalist.today/detail.php?number=160&thread=24r07r01 France is also called a global team because of its diversity. And the French soccer team is also called the ‘transcultural republic of the field’. Those who see it positively see it as 'tolerance, communit.. 2022. 12. 13.
파리가 사랑한 화가 남관 The Great Artist Nam Kwan speaks with all his body and heart to those who had lived, lived, and are living the modern history of Korea. He is not just an artist, but a great figure who melted Korean history into his life. https://newjournalist.today/detail.php?number=159&thread=24r06 Le grand artiste Nam Kwan parle de tout son corps et de tout son cœur à ceux qui ont vécu, vécu et vivent l'histo.. 2022. 12. 13.
메시&마라도나 비교해줘 - chatGPT의 답은? 메시&마라도나 비교해줘 - chatGPT의 답은? 아르헨티나는 2022 카타르 월드컵 8강에서 네덜란드를 승부차기 끝에 누르고 4강에 진출했다. 축구하면 떠오르는 인물 두 명을 말하라고 한다면 브라질의 펠레 그리고 아르헨티나의 마라도나라고 하는 팬들이 대부분일 것이다. 아르헨티나에는 마라도나에 버금가는 스타가 한 명 있는데 바로 리오넬 메시다. 메시는 2022 카타르 월드컵 8강전에서 페널티킥으로 골을 기록해 통산 월드컵 10골로 마라도나(8골)를 이미 넘어섰고 바티스투타의 월드컵 10골과도 타이를 이뤘다. 요즘 화제를 모으고 있는 오픈AI에서 만든 챗GPT(chatGPT)에게 메시와 마라도나를 비교해달라고 했더니 다음과 같이 답을 했다. https://newjournalist.today/detail.p.. 2022. 12. 10.
'염병하고 있네.' '염병하고 있네.' 교육계의 한 어르신이 증강세계관학교의 2023년 겨울학기 커리큘럼을 훑어보고 했던 말이다. ‘학비는 얼마냐’고 물어보셨고 나는 ‘얼마’라고 답을 했다. 그분은 혀를 끌끌 차며 밥은 먹고 사냐고 했다. ‘쉽지 않다’고 했다. 그는 ‘너무 고생이 많다’며 ‘다른 할 수 있는 것도 많을텐데 왜 이런 X고생을 하냐’고 물었다. 나도 나에게 다시 한 번 물었다. ‘왜 이런 고생을 하고 있니?’ https://newjournalist.today/detail.php?number=156&thread=24r08 2022. 12. 9.
[멜랑콜리커] 고뇌, 성찰, 사색의 단어 슬픔, 우울, 비관, 비애의 감정을 의미하며 반드시 치료해야 할 우울증으로 알려져 있는 멜랑콜리가 인류의 역사 속에 모든 창작과 발명을 가능하게 하는 귀중한 영감이자 예술과 문학을 창조하는 에너지임을 아는 사람 또한 많지 않습니다. 필자는 NJT 칼럼을 통해 인간 내면에 존재하는 우울 기질인 멜랑콜리를 최고 수준의 창의력으로 승화시키는 창조적인 멜랑콜리커에 대해 연재하고자 합니다. 앞으로 많은 기대 부탁드립니다. https://newjournalist.today/detail.php?number=157&thread=24r08 2022. 12. 9.
8강보다 중요한 우리의 보물 손흥민 손흥민을 보면 왠지 마음이 아팠다.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장 손흥민(30)은 ‘안와골절’ 수술 후 2022 카타르 월드컵에 참여했다. 그가 월드컵에서 빠진다고 해도 그 누구도 욕할 수 없는 그런 상황에서 손흥민은 자신의 ‘커리어’를 걸고 ‘국가’를 위해 봉사했다. https://newjournalist.today/detail.php?number=155&thread=24r07r01 8강보다 중요한 우리의 보물 손흥민 Photo by Shutterstock 손흥민을 보면 왠지 마음이 아팠다. 한국 축구 .. newjournalist.today 2022. 12. 6.
[가상 스토리 2025(4)] ‘미라클 엠버’ 2025년 10월 29일 이태원 참사 3주년 추모행사에 가기 위해 미국에서 입국한 형진은 무인 항공 택시 승차장으로 이동, 앱을 통해 미리 예약해둔 무인 택시에 승차한다. 인천공항에서 무인 항공 택시(일명 플라잉 택시)를 이용해 이태원역까지 가는 시간은 10분. https://newjournalist.today/detail.php?number=154&thread=28r03 [가상 스토리 2025(4)] ‘미라클 엠버’ Photo by Shutterstock 2025년 10월 29일 이태원 참사 3주년 추모행사에 .. newjournalist.today 2022. 12. 6.
[더 히든 라이터] 2. 권세연 작가 백일 백장 글쓰기 프로젝트. 말 그대로, 100일 동안 100장의 글을 쓰자고 다짐한 사람들이 모여서 진행한 프로젝트다. 좀 더 쉽게 풀어서 이야기하면, 100일 동안 매일 글을 쓰겠다고 다짐한 사람들이 모였다는 말이다. 이들은 책을 출간해서 작가가 되겠다는 꿈을 품고 있다. https://newjournalist.today/detail.php?number=153&thread=28r01 2022. 12. 6.
드라마보다 더 드라마같은 한국 축구 16강 진출 - 외신 반응 드라마보다 더 드라마같은 한국 축구 16강 진출 - 외신 반응 https://newjournalist.today/detail.php?number=152&thread=24r07r01 2022. 12. 3.
CES 2023에 대한 기대 CES® 2023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면서 지난해 같은 행사보다 규모 면에서 50% 증가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행사를 주최하면 CTA(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는 1일 새벽(한국 기준) 온라인 기자 회견을 열고 큰 성장을 예고했다. CTA의 사장 겸 CEO인 게리 샤피로(Gary Shapiro)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기술 혁신가들이 고객, 미디어, 투자자 및 정책 입안자들과 직접 만나는 이번 행사가 다가옴에 따라 우리는 이번 행사가 계기가 될 것에 감격하고 있고 1월에 혁신의 전당이 열리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https://newjournalist.today/detail.php?number=150&thread=24r03r02 2022. 12. 1.
페이커의 선한영향력 필자에게 페이커는 서번트 리더다. 인벤의 신연재, 남기백, 이두현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끊임없이 발전하는 페이커 선수가 가장 크게 발전한 부분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그는 `예전에는 좀 더 자기중심적이고, 뭐랄까. 숲을 보지 않고, 나무를 보는 그런 게 좀 있었다. 지금은 그런 것들이 좀 많이 발전을 한 것 같다. 여러 방면에서 성장하기 위해 좀 더 많은 것을 수용하려고 하는 게, 가장 많이 바뀐 부분이다.` 라고 답했다. https://newjournalist.today/detail.php?number=151&thread=24r07r01 2022. 12. 1.
사우스게이트 잉글랜드 감독의 리더십 사우스게이트 잉글랜드 감독의 리더십 아픔을 즐거움으로 승화시킨 명장 https://newjournalist.today/detail.php?number=149&thread=24r07r01 2022. 11. 30.
[가상 스토리 2025(3)] '마인드 가든' 마인드 가든은 평소 생활패턴과 메타버스 기록방에 남겨진 내면 성찰 일지를 바탕으로 ‘AI 자아분석기’ 가동 https://newjournalist.today/detail.php?number=148&thread=29r01 [가상 스토리 2025(3)] 마인드 가든 Photo by Shutterstock 2025년 12월1일. 활기찬 아침을 시작해 줄 ‘모닝 .. newjournalist.today 2022. 11. 30.
"손흥민 보러 인도 나갈랜드에서 왔어요." "손흥민 보러 인도 나갈랜드에서 왔어요." https://newjournalist.today/detail.php?number=147&thread=24r07r01 2022. 1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