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무료로 사진을 쓰세요 90년대 중반부터 미국 스포츠를 취재했습니다. 취재하면서 사진도 많이 찍은 것 같습니다. 제가 찍은 것도 있고 동료가 찍은 것도 있구요. 블로그를 하실 때 사진이 필요할 때가 있는데 솔직히 남의 사진 몰래(?) 쓰는 것도 요즘은 마음에 걸릴 때가 있죠. 이제 그 문제를 해결해드리려고 합니다. 그동안 촬영해뒀던 사진들을 여러분과 나눠쓰려고 합니다. 카테고리에 보시면 가 있고 그 아래에 코너가 있습니다. 그곳에 가셔서 마음에 드시는 사진을 여러분의 블로그에 사용하실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단, 가이드라인이 있습니다. 원하는 사진에 댓글을 달아주시면서 사진을 보내드릴 이메일 주소와 블로그 주소를 올려주시면 됩니다. 24시간 안에 처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런 과정 없이 무단으로 사용하시면 안 되는 거 아시죠.. 더보기 '킹 제임스' 르브론의 황제 즉위식 곧 열릴 듯 '킹 제임스(King James)'로 불리는 르브론 제임스(24)의 황제 즉위식이 열릴 것인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2003년 NBA 드래프트에서 전체 1번으로 지명된 후 화제를 불러일으켰던 ‘킹’ 제임스는 매년 급성장을 했는데 NBA 7년 차가 되는 올해 황제 즉위식을 성대하게 열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황제 즉위식 1탄은 바로 그의 MVP 수상입니다. 2008-09시즌에서 제임스는 소속팀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가 리그 전체 승률 1위 자리에 오르도록 도왔습니다. 캐벌리어스는 플레이오프 내내 홈코트 어드밴티지를 갖게 됩니다. 소속팀의 승률 1위로 제임스의 MVP 수상 가능성은 매우 커졌습니다. 지난 2005-06시즌에 MVP 투표 2위에 올랐던 제임스는 지난 시즌에는 4위에 그쳤습니다. 코비 브라이.. 더보기 [추억의 인터뷰] 서재응 미국 프로야구 입문 직전 서재응 선수가 미국 프로야구에 진입하기 직전에 인터뷰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메츠 구단과 입단 계약을 맺었던 서재응 선수는 형인 서재환 선수와 LA에 머물고 있었습니다. 1998년 2월에 인터뷰한 내용인데 당시에는 대학생이어서 그런지 지금보다 더 순수했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예의도 바르고 싹싹한 청년이었습니다. 시간이 지나고 사람은 변하니까, 그런 것을 기대할 수는 없지만 지금도 괜찮은 사람이라고 합니다. 메이저리그에서 잘 성장했으면 좋았을 터인데, 여러 이유로 한국으로 돌아가게 되어 아쉬운 점도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 팬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고 있어 그것도 흐뭇한 일입니다. 서재환 선수는 코치 수업을 받고 있었는데 지금은 무엇을 하는지 궁금하기도 합니다. 인터뷰어: 밝은터 (이 블로그의 필자) .. 더보기 [추억의 인터뷰] 박세리 LPGA 첫 우승을 차지하기 직전 박세리 선수가 LPGA에 진출해 첫 우승을 차지하기 직전에 인터뷰한 내용입니다. LPGA에서 우승하기 전까지만 해도 박세리는 유명 선수가 아니었습니다. 1998년 2월13일 그를 만났을 때 박세리를 취재하는 이는 거의 없었습니다. 비교적 쉽게 그를 인터뷰할 수 있었습니다. 뜨기 직전에 했던 인터뷰라 의미가 있었습니다. 이후 박세리는 LPGA 맥도널드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차지해 세계적인 여성 골퍼가 됐습니다. 쎄리팍하면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가 됐습니다. 미국에서 영향력 있는 아시안으로 뽑힐 정도로 그의 인기는 대단했습니다. 미국에서는 그다지 알려지지 않았던 당시 그는 어떤 선수였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터뷰어: 밝은터(이 블로그의 필자) 인터뷰이: 박세리 인터뷰 일자: 1998년 2월13일 인터뷰.. 더보기 2006년과 2009년 WBC에서 미국이 보여준 태도 변화 철 지난 이야기를 좀 하려고 합니다. 얼마 전 끝난 월드베이스볼 클래식(WBC) 이야기입니다. 특별히 2006년 WBC와 2009년 WBC를 비교하고자 합니다. 2006년 WBC에서 한국은 여러 모로 무시를 많이 당했습니다. ESPN의 중계팀은 한국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어 선수 이름 발음조차도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한국에 대한 정보 없이 중계를 했습니다. 또한 한국에 대한 무시하는 분위기는 여기저기서 보였는데 특히 2006년 WBC 4강전과 결승전이 열렸던 펫코파크에는 각국어로 플래카드가 붙여져 있었는데 유독 한국어만 보이지 않았습니다. 쩝! 좀 그랬습니다. 당시 파드레스 구단에 연락을 해서 물어봤지만 아무도 답변을 하지 않았습니다. 중국이나 대만은 출전하지도 않았는데 배너에 중국어가 있고 출전국 한.. 더보기 한국 최초로 메이저리그 야구 경기를 온라인에서 문자로 중계함 자랑이라기보다는 역사의 기록으로 남겨두고 싶어서 이 글을 올립니다. 제가(밝은터) 했던 일 중에 눈에 띄는 것 중 하나는 한국에서는 최초로 메이저리그 야구 경기를 문자로 생중계한 일입니다. 당시에는 문자로 스포츠 경기를 중계한다는 게 말이 안 됐는데 실제 해보니 반응이 상당히 좋았습니다. 제가 한 문자 중계가 스포츠 중계 사상 처음인지는 모르겠습니다. 혹시 아시는 분은 댓글로 알려주세요. 최초로 했다고 해서 자랑하는 게 아니라 모두 "그건 아니야" 라고 할 때 밀어부쳤던 일이 지금 저에게 격려가 된 답니다. 앞으로 준비하는 일에도 그때 일이 원동력이 됩니다. 지금 언론 웹사이트에서 대부분 문자 중계를 하는데 그 원조가 제가 되어 버렸네요. 원조라고 이득이 될 건 없지만 역사의 기록으로 남겨두면 좋을 것 .. 더보기 [추억의 인터뷰] 이만수 코치 시카고 화이트삭스 시절 이만수 코치와는 서너 차례 만남을 가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가끔 전화 연락을 하며 안부를 묻곤 했죠. 참 좋은 분이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따뜻한 마음을 가졌고 이웃들에게 참 잘하는 분이었습니다. 한국으로 돌아가신 후에는 대화할 기회가 없었지만 SK에서 수석코치로 일하시게 되자 SK를 많이 응원하게 되었습니다. 부인 되시는 이신화님과 인터뷰를 한 적이 있었는데 이런 말씀을 하시더군요. “100점을 기준으로 120점을 줄 수 있다면 좋겠어요. 참 가정적이고 식구들을 아껴요. 특히 섬세한 부분이 있어서 저와 아이들이 감동할때가 한두번이 아니죠. 이벤트도 하고 가족들에게 자주 편지를 쓰면서 사랑을 표현해요.” 여기 올려지는 기사에 그런 내용이 있습니다. 좋은 사람, 좋은 코치. 그가 바로 이만수라는 인물입니.. 더보기 [추억의 인터뷰] 가수 박정현(Lena Park) 가요계 데뷔 전 이 블로그의 필자인 밝은터는 1996년 N미디어라는 회사에 잠시 몸담고 있었습니다. N미디어는 주간지를 만들려고 준비했는데 잡지의 이름은 Weekly E!였습니다. 창간호를 다 만들었지만 배포하지는 못했습니다. 시장성이 전혀 없었기 때문입니다. 결국 세상에 선도 보이지 못했던 거죠. 그 창간호에는 가수 박정현 양의 인터뷰가 실려 있습니다. 창고에 있던 당시 창간준비호를 꺼냈습니다. 지금은 유명가수가 된 박정현 양의 인터뷰 내용을 읽으며 여러분들과 나누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운영 중인 것은 스포츠 블로그이지만 박정현씨의 팬들과 나누고 싶습니다. 인터뷰는 당시 Weekly E!지의 기자였던 강원준 군과 함께 진행했던 인터뷰 내용을 소개합니다. 인터뷰어: 강원준 인터뷰이: 박정현 기획 및 사진: 밝은터.. 더보기 이전 1 ··· 258 259 260 261 262 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