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저널리스트 투데이/소상공인 | 자영업자

미래 사회의 불안, 고령화와 노후 준비: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나?

반응형

고령화 시대,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한국은 빠르게 고령화 사회를 넘어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를 넘을 것으로 예측되며, 이는 사회 전반에 걸쳐 중대한 변화를 예고합니다. 고령층은 여전히 노동 현장에 머물며 생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연금 부족과 열악한 일자리 현실이라는 문제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연금만으로는 부족한 노후 생활비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 고령층의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약 80만 원으로, 1인 기준 최저 생계비 134만 원에 크게 못 미칩니다. 이로 인해 많은 노인들이 은퇴 후에도 생계를 위해 노동 시장에 재진입할 수밖에 없습니다.

노인 일자리의 현실: 비정규직과 단순노무직 중심

고령층 노동자의 약 61.2%가 비정규직이며, 이 중 절반은 10인 미만의 영세 사업장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단순노무직 종사자 비율도 35.4%에 달해, 다수가 경력과 무관한 육체노동에 종사하는 실정입니다.

공공 일자리의 한계와 제도적 개선 필요성

정부가 제공하는 공공 일자리는 월평균 수당이 약 27만 원 수준으로, 생활비로는 턱없이 부족합니다. 단기적 지원보다 연금 제도 개선, 정년 연장, 민간 중심의 양질의 일자리 확대가 더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우리 사회가 준비해야 할 미래

고령화는 단순한 인구 구조 변화가 아니라 사회적 시스템의 재설계를 요구하는 문제입니다. 청년 세대는 지금부터 노후를 준비해야 하며, 정부는 생애 주기 전반을 고려한 종합적 정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건강하게 일하고, 존엄하게 쉴 수 있는 노년’을 보장하는 사회가 지속가능한 복지국가의 핵심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