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저널리스트 투데이/한국정치

2025 제21대 대통령 선거, AI가 본 후보 종합 분석!

반응형

2차 TV토론 장면. 사진- 중앙선관위 영상 갈무리

🔥 2025 제21대 대통령 선거, AI가 본 후보 자질 종합 분석!

2025년 5월,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유권자들의 관심은 "과연 누가 대통령으로서의 자질을 갖췄는가"에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뉴저널리스트 투데이는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두 차례의 대선 TV토론(5월 18일, 5월 23일)을 기반으로 후보자 평가를 시도했습니다.

이 AI 평가 시스템은 정치 및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는 '루브릭(Rubric)' 기반으로, 총 60점 만점의 평가 항목을 통해 각 후보의 자질을 체계적으로 분석했습니다. 항목은 리더십, 정책 전문성, 커뮤니케이션 능력, 태도 및 품격, 대외 감각, 국민과의 거리감 6가지로 구성되었으며, 정책 전문성(30%)과 리더십(20%) 항목에 높은 가중치가 적용되었습니다.

🧠 인공지능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50점
  2. 권영국 (민주노동당): 48점
  3. 이준석 (개혁신당): 46점
  4. 김문수 (국민의힘): 42점

📌 주요 후보 종합 요약

이재명 후보는 경제 정책과 국제 감각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고, 민생 중심 발언으로 공감 능력도 입증했습니다. 다만 일부 날 선 언행은 아쉬운 점으로 지적됐습니다.

권영국 후보는 노동자 중심 정책과 온건한 태도에서 강점을 보였으며, 공감 능력과 민생 중심성이 돋보였습니다. 급진적 정책의 현실성 부분은 보완이 필요합니다.

이준석 후보는 청년층 공감대를 형성하고 빠른 논리 전개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인정받았지만, 일부 공격적 언행과 외교적 깊이 부족은 단점으로 나타났습니다.

김문수 후보는 에너지 정책 등에서 분명한 입장을 취했지만, 극단적 언사와 협소한 정책 범위는 낮은 점수로 이어졌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오리지널 기사)

https://www.newjournalist.today/detail.php?number=2922&thread=24r05r02

 

인공지능이 분석한 2025년 대선 TV토론, 누가 ‘대통령감’에 가까웠나? [Special Report]

2025년 제21대 대통령 선거의 열기가 뜨거워지는 가운데, 유권자들의 가장 큰 관심사는 바로

newjournalist.today

 

반응형